열린게시판

[스크랩] 김규동 시인 추모 2주기 문학강연과 시 낭독회(삼정문학관)

우또라 2014. 11. 17. 12:26

 

 

            

                           

 

 

 

 

                                                   

 

 

 

 

 

 

 

           

 

 

 

 

 

 

           

 

 

 

 

 

 

                            

         

 

 

 

 

 

                              

           

 

 

 

 

 

 

 

 

                                                                  '아침의 편지'를 낭독한 이기형 민족시인 아드님 이휘건 교수

                                                              아버님의 문학적 스승님이신 김규동 시인과의 일화 를 들려 주시며

                                                         해맑게 웃으시던 모습이 기억난다고 하셨는데 낭독 목소리가 참 좋으셨어요.

 

 

 

 

최종천 시인 - 술을 못 하시지만 음악을 잘 아는 시인

 

 

 

 

 

조용필의 들꽃을 알게 해 주신 김다은 성악가

 

 

 

 

 

 

 

 

 

 

 

 

 

                                                                           자작시 '시인의 빈 손'을 낭독한 박몽구 시인

                                                           선생님이 광주 민주화 운동 현장을 지킨 분이라고 소개하셨습니다

 

 

 

 

 

 

                                             김규동 선생님 이야기로 시 낭독회를 열어 주신 김시천 시인

 

 

 

 

 

 

 

                                                                                               들꽃

                                                                              - 김다인(성악)

 

                                                                   나 그대만을 위해서 피어난

                                                        저 바위틈의 한송이 들꽃이여

                                              돌 틈 사이 이름도 없는 들꽃처럼 핀다 해도

                                                    내 진정그대를 위해서 살아가리라

                                                         언제나 잔잔한 호수처럼

                                                      그대는 내가슴에 항상 머물고

                                                수많은 꽃 중에 들꽃이 되어도 행복하리

 

 

                                               돌 틈 사이 이름도 없는 들꽃처럼 산다 해도

                                                      내 진정 그대를 위해서 살아가리라

                                                          오색의 영롱한 무지개로

                                                       그대는 내 가슴에 항상 머물고

                                                  수많은 꽃 중에 들꽃이 되어도 행복하리                  

 

 

 

 

 

 

김규동 시인의 '청춘은 번개처럼'을 낭독한 권성훈 시인

수원에서 뵌 인연으로 먼저 인사해 주셔서 더 반가웠습니다.

 

 

 

 

 

 

 

아버님의 '유모차를 끌며'를 낭독한 김규동 시인의 셋째 아드님

 

 

 

 

 

 

맹문재 선생님의 '김규동 시인'을 낭독한 이태정 시인

해남에서 뵌 적 있어 먼저 차 한잔을 건네 보았습니다.

 

 

 

 

 

 

김규동 시인의 '존재와 말'을 낭독한 전현배 시인

 

 

 

 

 

힘있는 목소리로 김규동 시인의 '육체로 들어간 진달래'를 낭독한 박설희 시인

 

 

 

 

 

 

김규동 시인의 '나비와 광장'을 낭독한 박재웅 시인

 

 

 

 

 

 

 

 

김규동 시인의 '담배와 신'을 낭독한 박홍점 시인

 

 

 

 

 

 

 

김규동 시인의 '고향'을 낭독한 박현주 시인

 

 

 

 

 

 

 

 

    전복희 (색소폰 가수)

 

 

 

 

 

 

자작시 '440헬츠'를 낭독한 설광호 시인

 

낯가림이 있고 숫기가 없어도 편지로 한편 한편을 칭찬해 주셨던

시는 혼자 하는 것이나 누구 누구를 알려 주시며 찾아 가라던

그러나 한번도 찾아 가지 못했음을 돌아 가실 때까지도 안타까워 하신 김규동 시인을,

강남길을 한 시간 동안 헤맸던 기억을 들으시고 강남이란 동네가 원래 상놈의 도시라고 하시며

도시에 대해 특유의 말씀을 하셨던 기억을 말씀하시고

선생님을 젊었을 때 알고 모셨음을 뿌듯하게 생각하며

그 뜻을 받들도록 앞으로 노력하겠다고

김규동 시인과의 인연을 말씀하셨습니다.

 

 

 

 

 

 

자작시 '가시는군요'를 낭독한 성덕용 시인

 

 

 

 

 

 

자작시 '스틸 라이프'를  낭독한 성향숙 시인

 

 

 

 

 

 

 

자작시 '나쁜 생각'을 낭독한 이소리 시인

시 낭독 전에 김규동 시인께 큰절을 두 번 올리셨습니다.

시 낭독회가 끝나고 김시천 시인과 동료 시인께 큰 격려와 칭찬을 받으셨습니다.

 

 

 

 

 

김규동 시인의 '김기림'을 낭독한 이승철 시인

 

 

 

 

 

'가래를 뱉다- 김규동 시인님께'를 낭독한 이승호 시인

 

 

 

 

 

김규동 시인의 '경고'를 낭독한 이주희 시인

선배님의 진지한 모습이 아름다웠습니다.

 

 

 

 

 

 

김규동 시인의 '느릅나무에게'를 낭독한 권오헌 시인

 

그날 아침 사이언스 지 새 논문 내용 중

사망진단을 받은 뇌의 에너지가 20와트 정도 남아 있는데

'내가 누굴까' 반문할 정도의 에너지이며

이 에너지는 결코 소멸되지 않는다는

죽음은 소멸하지 않는다는 말씀으로

그날에도 김규동 시인이 무궁한 에너지로 같이 계시므로

굳은 의지로 문학활동을 할 것을 말씀하셨습니다.

 

 

 

 

 

 

'두만강 작은 배 -김규동 선생님께' 를 낭독한 정원도 시인

 

얼마전 수업시간에 시인의 시를 배우기도 했고 해남에서 뵙기도 해서 그런지

편히 말씀 나눌 수 있었습니다.

 

                                              김규동 시인 생전 방문한 댁에서 손수 그린 듯한 '두만강에 두고 온 작은 배' 그림 속

                                    어린 시절 북에 두고 오신 아버지와 어머니, 형제들이 그때 모습 그대로 함께 살고 있는 듯한 모습과

                                                  그 곁을 지켜주는 듯 하던 추사의 '욕존선겸 과난성상(慾存先謙 過難成祥)

                                              -존경을 받고 싶으면 먼저 겸손하여야 하고 그러면 온갖 좋은 일이 생긴다'를

                                                                          정원도 시인의 시에서 알게 되었습니다.

 

 

 

 

자작시 '길'을 낭독한 정정례 (시인, 삼정문학관장)

선생님께서는 '시 아니면 다 부질없다'는 구절의 의미가 새롭게 다가온다고 하셨습니다.

 

 

 

 

 

 

                                                                            자작시 '기타리스트의 연인'을 낭독한  최기순 시인

 

 

 

 

 

                                                                              '작은 소나무' 시낭송-민영(시인, 한국작가회의 고문)

 

 

                                                    

 

 

                                                                                 자작시 '분단유지비' 낭송 - 최종천 시인

 

                                                                      통일 안 된 대한민국에서 통일문제를 이야기하셨습니다.

                                                             김규동 시인이 살아 생전 통일을 염원하다가 돌아가셨음을 생각하시고

                                                                           우리의 분단문제를 시로 형상화해서 들려 주셨습니다.

 

 

 

 

 

                                                         김규동 시인의 '보일러 사건의 진상'을 낭독한 정동영 시인

                                    인사동 시인학교를 하실 때 강사료를 안 받고 강의해 주시던 모습을 전하셨습니다.

 

 

 

 

 

                                                                              김규동 시인의 '행복'을 낭독한  문창길 시인

                                                                  다문화 문학 콘서트를 주관하시는 등 소중한 인연이었습니다.

 

 

 

 

                                                                          김규동 시인의 '빈손으로'를 낭독한 김여옥 시인

 

 

 

 

 

                                                                    김규동 시인의 '빈손으로'를 낭독한 임형신 시인

                                                                            곧 두번째 시집을 출간하신다고 하세요.

 

 

 

 

                                          '나의 아버지 김규동 시인'을 헤밍웨이와 비교하여 소개한  김현 변호사

 

                               젊은 시인들께 꼭 편지로 답장 하셨던 아버님, 소중한 모든 것을 다 나누고 가신 아버님,

                                             아프실 때에도 강인한 정신으로 새긴 '시각'에 대해 회상하셨습니다.

                                               김규동 시인이 직접 새긴 '시각'이 문학관에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문학 강연 '내가 만난 김규동 시인'- 민영(시인, 한국작가회의 고문)

                                                                        김규동 시인이 돌아가실 때  편지를 주셨다고 합니다.

                                                    거쳐온 질곡을 읽으시고 짧지만 마음속 깊이 우러나는 편지를 받고 우셨다고 합니다.

                                                               김규동 시인께 받은 7~80통의 편지를 소중하게 생각하시고

                                                                                서간집을 내고 싶다고도 하셨습니다.

 

 

출처 : 맹문재 홈페이지
글쓴이 : 박현주 원글보기
메모 :